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웅문 이동평균선 설정 방법 및 활용

by 피그말리오 2025. 3. 21.

 "영웅문에서 이동평균선을 설정하는 방법과 활용법을 알아보자!"

주식 투자를 할 때 차트 분석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특히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 MA)은 주가의 흐름과 추세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키움증권에서 제공하는 HTS(영웅문4)와 MTS(영웅문S)에서는 쉽게 이동평균선을 설정하고 활용할 수 있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기능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웅문 HTS(PC)와 MTS(모바일)에서 이동평균선을 설정하는 방법, 이동평균선의 의미, 활용법 등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이동평균선(MA)이란?

1) 이동평균선의 개념

이동평균선(MA, Moving Average)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을 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주가의 흐름과 추세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을 활용하여 추세 분석, 매수·매도 타이밍 설정, 지지·저항선 파악 등의 다양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주요 이동평균선 종류 및 의미

  • 단기 이동평균선 (5일·10일·20일) → 단기적인 주가 흐름 분석
  • 중기 이동평균선 (60일·120일) → 중기적인 추세 파악
  • 장기 이동평균선 (200일 이상) → 장기적인 투자 전략 수립

 이동평균선 활용 예시

  • 5일선이 20일선, 60일선을 상향 돌파하면 상승 신호(골든크로스)
  • 5일선이 20일선, 60일선을 하향 돌파하면 하락 신호(데드크로스)
  •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지지선으로 활용하면 상승 가능성, 저항선으로 활용하면 하락 가능성 증가

2. 영웅문 HTS(PC)에서 이동평균선 설정하는 방법

영웅문 HTS에서는 차트 설정을 통해 원하는 이동평균선을 추가할 수 있으며, 색상과 굵기를 조정하여 시각적으로 보기 편하게 설정 가능합니다.

 1) 영웅문 HTS 실행 후 차트 열기

  1. 키움증권 영웅문 HTS(영웅문4 또는 영웅문 S)를 실행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차트] → [종합차트(F3)]**를 클릭합니다.
  3. 분석하고 싶은 종목을 검색하여 차트를 불러옵니다.

 2) 이동평균선 추가 및 설정 방법

  1. 차트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지표 추가/삭제]**를 선택합니다.
  2. 지표 목록에서 **[이동평균(MA)]**을 선택한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이동평균선의 기간을 설정 (예: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등)
  4. 각 이동평균선의 색상 및 선 굵기를 조정하여 가시성을 높입니다.
  5. 설정이 완료되면 [확인] 버튼을 눌러 적용합니다.

3. 영웅문 MTS(모바일)에서 이동평균선 설정하는 방법

 1) 영웅문 MTS 실행 후 차트 열기

  1. 영웅문S(키움증권 모바일 앱)를 실행합니다.
  2. 하단 메뉴에서 [차트] 버튼을 누른 후 원하는 종목을 검색합니다.

 2) 이동평균선 추가 및 설정 방법

  1. 차트 화면에서 우측 상단의 톱니바퀴(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지표 설정] 메뉴에서 이동평균(MA)을 선택하여 추가합니다.
  3. 이동평균선의 기간을 설정 (예: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등)
  4. 선 색상, 두께 등을 조정한 후 [확인]을 눌러 저장합니다.

 모바일에서도 PC와 동일하게 이동평균선을 추가할 수 있으며, 손쉽게 확인 가능


4. 이동평균선 활용법 (매매 전략 적용)

이동평균선을 활용하면 매수·매도 타이밍을 설정하고, 주가의 지지·저항 수준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1) 골든크로스(Golden Cross) & 데드크로스(Dead Cross) 활용

  • 골든크로스(Golden Cross): 단기 이동평균선(5일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20일선, 60일선)을 상향 돌파 → 강한 상승 신호
  • 데드크로스(Dead Cross):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 → 하락 신호

 2) 지지선 & 저항선 활용

  •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서 지지를 받으면 추가 상승 가능성이 큼
  • 반대로, 주가가 이동평균선에서 저항을 받으면 하락 가능성이 높음

 3) 이동평균선의 배열을 활용한 추세 분석

  • 강세장(Uptrend): 5일 > 10일 > 20일 > 60일 > 120일 (단기선이 장기선 위에 위치)
  • 약세장(Downtrend): 120일 > 60일 > 20일 > 10일 > 5일 (장기선이 단기선 위에 위치)

5. 이동평균선 설정 시 유의할 점

 1) 종목에 따라 적절한 이동평균선 설정

  • 단기 매매(스캘핑, 데이트레이딩) → 5일, 10일선 중요
  • 중기 투자(스윙 트레이딩) → 20일, 60일선 활용
  • 장기 투자 → 120일, 200일 이동평균선 중요

 2) 단순 이동평균선(SMA) vs. 지수 이동평균선(EMA) 선택

  • 단순 이동평균선(SMA):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값 (변동성이 적음)
  • 지수 이동평균선(EMA): 최근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 (빠른 변동 반영)

 단기 투자자는 EMA(지수 이동평균선) 사용을 추천, 장기 투자자는 SMA(단순 이동평균선) 사용 가능


  결론: 영웅문에서 이동평균선 활용하기

 HTS(PC) & MTS(모바일)에서 쉽게 이동평균선 설정 가능
 단기(5일·10일), 중기(20일·60일), 장기(120일·200일) 이동평균선 조합하여 분석
 골든크로스(매수 신호) & 데드크로스(매도 신호) 활용 가능
 이동평균선을 활용하면 주가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투자 전략에 맞게 적절한 설정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